글. 조수빈 사진. 김범기 영상. 이덕재
한낮의 태양이 뜨거웠던 어느 날, 무더위를 잊기 위해 바다로 뛰어든 변수빈 대표. 물놀이를 하다 모자나 선글라스, 신발 등이 파도에 휩쓸려가는 건 흔히 있는 일이다. 변 대표의 친구가 이날 잃어버린 다이빙 마스크도 한낱 ‘분실물’이 될 뻔했다. 하지만 이틀 뒤 파도에 밀려온 다이빙 마스크는 변 대표의 환경 정화 활동에 신호탄이 되었다.
그날 이후 바다에 갈 때마다 눈에 보이는 쓰레기들을 한두 개씩 주워왔다. 그렇다고 해서 ‘환경보호’라는 거창한 사명감과 의무감이 있었던 건 아니다. 그저 ‘나만의 놀이터를 깨끗하게 유지해 보자’라는 생각에서 시작한 활동이 지금의 ‘디프다 제주’까지 이어진 것이다. “처음 해양 정화 활동을 할 때에는 직장 생활과 병행을 했어요. 평일에는 직장 생활을, 주말에는 바다에서 쓰레기를 줍는 식이었죠. 그런데 코로나 시기를 지나면서 환경에 대해 경각심을 갖게 된 사람들이 많아졌잖아요. 그 관심을 더 큰 영향력으로 이어보면 좋겠다, 싶어서 ‘디프다 제주’ 활동에 더 힘을 쏟기 시작했어요. 그렇게 해양 정화 활동이 저의 주업이 되었죠.”
올해 6년차에 접어든 환경 정화 단체 ‘디프다 제주’에서는 변 대표를 포함해 6명의 멤버들이 함께 여러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 ‘디프다’는 고래별자리 중 가장 빛나는 별인 ‘디프다’에서 따왔는데, 자신들의 활동이 바다에서 가장 빛났으면 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바다 쓰레기와 도심 쓰레기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도심과 달리 바닷가에는 ‘여행’과 관련된 것들이 많지 않을까 했지만, 변 대표는 대답은 예상 밖이었다. “‘바다 쓰레기’라는 특징이 없는 것 같아요 인간이 만들어내는 모든 쓰레기가 여기에도 있다고 보면 돼요. ‘바닷가에 버려진 신발’ 하면 슬리퍼가 많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운동화가 더 많아요. 놀랍겠지만 냉장고나 전자레인지 같은 가전제품도 많고요.”
변 대표는 봉그깅 외에도 바다 아래 숨죽인 쓰레기들을 건져 오는 ‘그린다이빙’ 활동도 활발하게 하고 있다. 그가 직접 본 바다 속 풍경은 늘 아름다웠다. 하지만 수십 년 전에는 분명 이보다 더 신비롭고 예뻤을 것. “해녀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40년 전만 해도 물질을 하러 들어갈 때 발에 걸리는 해조류를 걷어내는 데 한참 걸렸다고 해요. 그렇게 들어간 바다 속에는 땅 위의 울창한 숲 같은 풍경이 펼쳐졌대요. 그때 그 바다만큼은 아니겠지만, 저는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지금의 제주 바다라도 지키고 싶어요. 훗날 이 풍경마저도 ‘그랬었대’ 하며 추억이 되면 너무 슬플 것 같아요.”
오는 10월 15일 디프다 제주는 KOGAS의 도움으로 제주도 안의 작은 섬 비양도에서 해양 정화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디프다 제주의 환경 정화 활동에 관심이 있다면 그들의 인스타그램(@diphda_jeju)에 꼭 들러 보길. 자연에게서 많은 걸 누렸으니, 조금 힘을 쏟아도 아깝지 않다는 변 대표. ‘자연에 대한 사용료’라고 생각하면 쉽단다. 이제는 우리가 지구를 위해 ‘연대’를 할 때다. 작은 실천이라도 좋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