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gas

WITH KOGAS

  • WITH KOGAS
  • 필봉계주

url 복사 인쇄하기

필봉계주

우리는 모두 어떤 가치의 개념에 대해 나름의 정의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랑'이라면 나 자신보다도 상대방의 행복을 더 위하는 마음이라거나, '신뢰'라면 어떠한 상황에도 변하지 않고 일관되게 유지되는 믿음을 의미한다고 생각하는 것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수많은 가치 중, 특히 중요하게 여겨지는 가치 가운데 하나인 '가족'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글 재무처 내부회계개선부 홍대화 직원]



피로 맺어진 끈끈한 관계, 가족

우리에게 있어 '가족'은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가족'이라는 단어는 행복을 연상시키는 경우가 많다. 설령 자신이 처한 현실이 그렇지 않더라도, 지향하는 방향은 행복을 향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그렇다면 '행복한 가족'이란 어떤 가족을 말하는 것일까? 여기에는 한 사람 한 사람, 각자가 그리는 다양한 모습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쉽게 떠오르는 이미지를 단편적으로 나열해보자면 때로는 엄격하지만 온화하고 상냥하신 부모님, 재정적 궁핍에 시달리지 않을 정도의 부, 대단하지 않더라도 가족이 살기에 부족이 없는 집, 면학에 힘쓰며 가족에 활력을 불어 일으키는 자식들의 모습 정도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내 생각에는 행복한 가족이 되기 위해서 한 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대다수 가족에겐 너무나 당연하고 자연스러워 굳이 생각할 필요도 없는, '혈연관계'가 바로 그 전제다. 사실을 모른 채 양부모 밑에서 자라온 어떤 사람이 우연히 자신의 친부모를 만났을 때, 말로는 설명 할 수 없는 어떤 신비로운 느낌에 휩싸인다거나 하는 체험담 등을 굳이 여기서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어떠한 현상에는 이를 일으킨 원인이 존재하며, 실제로 우리는 이러한 인과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구체성에 가까워지게 될수록 그 현상에 의미를 부여 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혈연관계로 맺어진 구성원들이 '가족'으로서 함께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 무슨 설명이 더 필요할까? 그런데 최근, 한 영화를 보고 이러한 관점을 달리 생각해 볼 계기를 얻게 됐다. 그 영화의 제목은 바로 '어느 가족'이다.

영화 '어느 가족' 속 가족의 재구성

영화의 내용을 요약한다면, 사실 별달리 쓸 말이 없다. 한 가난한 가족이 살아가는 모습을 담담하게 그려낸 작품 정도랄까? 이같은 설명만으로는 별 특징 없는 밋밋한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이 가족의 구성 내력이 일반적인 상식의 범주를 너무나도 벗어나 있다는 점을 알게 되기 전까지는 말이다. 이 가족은 할머니와 부부, 장녀와 장남 그리고 차녀의 6인으로 구성돼 있다. 놀라운 점은 이들 간에 어떠한 혈연관계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심지어 차녀는 동네의 한 가정에서 학대받고 있는 것을 부부가 우연히 발견해 데려온(거의 유괴에 가까운)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쯤 되면, 과연 이 집단을 가족이라고 볼 수 있을까? 하는 자연스럽고 타당한 의문이 누구에게나 들 것이다. 영화 제목이 '어느 가족'이듯 나 또한 영화를 끝까지 보고나서 이들이 의심할 여지없는 가족임을 오롯이 받아들였다. 그 가장 큰 요인은 이 '기이한 가족'에게서 어떠한 따스함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미 언급했듯, 이 가족에게 특별한 무언가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어떻게 생각해봐도 이 가족에게서 떠오르는 이미지는 부정적인 경향이 강하다. 삶을 고단하게 만드는 재정적 빈곤함, 혈연의 부재로 인한 유약한 유대 등.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가족의 모습이 담담하고 현실적으로 그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보고 있자면 가슴속에 차오르는 어떤 보편적인 따스함이 존재한다는 점은 퍽 놀라웠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비현실적이고 단순한 설정 놀음. 그야말로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판타지에 불과한 것일까.

당신이 생각하는 가족이란?

이 영화를 본 후 느낀 점은 바로 고정관념의 가변성이다. 본래 고정관념이라는 단어 자체가 그다지 긍정적인 의미로 쓰이지도 않을뿐더러 변하지 않는 일종의 물리적 법칙 등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긴 하나, 럼에도 고정관념은 그럴만한 나름의 이유가 있기에 '고정'관념인 것이다. 사람과 사람이 서로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거기에 합당한원인이 필요하다. 가족의 경우라면, 혈연관계야말로 더 이상의 말이 필요 없는 타당한 원인이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특별한 계기나 누군가의 치열한 노력 없이도 성립될 수 있으며, 너무나도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느껴지는 관계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어느 가족'은 나의 이러한 고정관념에 대한 관점에 변화를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두 말이 필요 없는 합당한 원인이 가진 힘을 부인하겠다는 것은 아니나, 그힘은 의외로 절대적이지는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중요한 것은 가족의 각 구성원이 지향하는바, 즉 바라는 것의 방향성일지도 모른다. 남편이라면 사랑하는 아내와 자식들과 더 많이, 보다 의미 있는 시간을 공유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자식이라면 자신이 하고 싶은 활동을 하고, 부모님께 칭찬받고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가 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욕구는 어느 한쪽의 노력만으로는 충족되기 어렵다. 각 구성원이 지향하는 방향성이 어느 정도 유사하고, 상호 관심 속에서 배려와 노력을 기울일 때 비로소 충족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생각하는 행복한 가정에 필요한 구체적인 요소들은 무엇일까. 이를 이루기 위해 내가 도달해야 하는 가치관과 기울일 수 있는 노력은 무엇이 있을까. 친절하게 많은 것을 설명해주지는 않았으나, 많은 고민거리와 함께 짙은 여운을 남겨준 영화, '어느 가족'이었다.

다음 필봉계주 주자는 경영협력처 국제협력부 김혜영 대리입니다.